「AI 지역확산 사업 AI 품질관리 컨설팅」용역
제 안 요 청 서
|
2025. 05.
사업
담당
|
지역디지털본부
지역디지털산업팀
|
정태일 수석
|
☏ 043-931-5932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기업민원 보호․서비스헌장
우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 임․직원은 기업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민원대응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진흥원․기업 간 소통신뢰 민원행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노력할 것을 기업고객에게 약속드립니다.
하나. 우리는 기업 불편을 초래하는 불합리한 규제, 제도나 관행을 수시로 정비ㆍ개선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규제개선, 애로제기 등에 관하여 의견을 제출한 기업고객에 대하여, 어떠한 불이익을 주거나 차별을 하지 않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기업고객께서 불이익이나 차별을 받은 경우, 이를 조사하여 적절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것이며, 그러한 잘못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규제, 제도, 정책을 수립, 이행하는 전 과정에서 기업고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기업고객께서 신뢰할 수 있도록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목 차
Ⅰ. 사업개요 1
Ⅱ. 제안요청내용 4
Ⅲ. 제안서 평가기준 및 작성방법 17
Ⅳ. 입찰안내 22
Ⅴ. 별지서식 25
Ⅰ. 사업개요
1. 사 업 명 : AI 지역확산 사업 AI 품질관리 컨설팅
2. 사업금액 : 109,000,000원 (부가가치세 포함)
3. 사업기간 : 계약 체결일 ~‘25. 12. 12.(금)
4. 추진배경 및 필요성
o (AI기본법)「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24.12.26.) 국회 통과에 따라 인공지능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관리체계 및 방안등에 대한 의무화 예정 (‘26.1.22. 시행)
o (AI 지역확산 사업) 지역의 AI 융합 생태계 조성 및 AI 기술 확산을 위해 (영남)제조업 AI 융합 기반 조성 사업과 (호남)AI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사업추진
- 영‧호남의 AI융합 솔루션 실증과제가 총 39개 진행되고 있고, ‘25년 추가 신규 과제 발굴 및 공모가 예정되어 있음에 따라,
- AI 안정성‧신뢰성을 포함한 AI 품질관리 전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관리체계 수립‧운영 역량 강화 필요
5. 추진목적 또는 추진목표
o「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에 따른 AI기반 SW의 신뢰성, 안전성 및 품질 확보에 대한 인식 제고 필요
o ‘24년 추진한 AI 검‧인증 체계를 바탕으로 과제 유형 분석 및 그에 따른 품질‧신뢰성 확보를 위한 필요 검‧인증 도출 역량 확보
o AI 지역확산 사업 실증과제 참여 기업 실무자의 AI 품질 관리 체계 수립 및 운영 역량 제고 및 AI 검‧인증 획득을 위한 실무 역량 강화
o AI 지역확산 사업을 통해 구축한 AX랩과 지역SW품질역량센터를 연계하여 지역의 AI 품질관리 역량 강화 및 확산
6. 주요내용 : 세부내용은 ‘Ⅱ. 제안요청내용’ 참조
o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기반으로 AI 신뢰성‧안전성 확보에 대한 인식을 제고
- AI 기본법이 요구하는 AI 수명 전반에 걸친 위험의 식별‧평가 및 위험의 완화, 안전사고 모니터링‧대응 위험관리체계와 방안 등에 대한 세미나 추진
o (AI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AI 지역확산 AI 검‧인증 체계 연구」용역을 통해 도출한 6개 AI 검‧인증 체계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 추진
- AI융합 솔루션 실증 과제 및 수행 기업에 필요한 AI 검‧인증 도출 및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AI품질 코디네이터 양성
o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AI 품질 관리 체계 수립 및 운영 역량을 제고하고 AI 검‧인증 대응 실무 인력을 위한 역량 강화 컨설팅
7. 추진일정 및 절차
절차
|
|
일정
|
|
수행기관
|
|
주요 내용
|
|
|
|
|
|
|
|
입찰공고
|
|
5월
|
|
조달청
|
|
용역 입찰공고
|
|
|
|
|
|
|
|
제안접수마감
|
|
6월
|
|
조달청
|
|
제안서 접수마감
|
|
|
|
|
|
|
|
평가․선정
|
|
6월
|
|
발주기관
|
|
기술제안서 평가
|
|
|
|
|
|
|
|
기술 협상
|
|
일정 통보
|
|
발주기관, 제안사
|
|
기술협상
|
|
|
|
|
|
|
|
계약체결
|
|
2025.6월
|
|
조달청, 발주기관,
제안사
|
|
계약체결
|
※ 상기 일정은 일부 변경될 수 있음
Ⅱ. 제안요청내용
1. 제안 요청사항
□ 사업개요
o AI 지역확산 사업의 지역 수행 기관 및 사업내 AI 융합솔루션 실증 기업들의 신뢰성‧안정성을 포함한 AI품질관리 전반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신뢰성을 기반으로하는 AI융합 기술 개발‧실증의 토대 마련
□ 추진배경 및 필요성
o (AI기본법) ‘24.12.26.「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국회 통과에 따라 인공지능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관리체계 및 방안등에 대한 의무화 예정 (‘26.1.22. 시행)
※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중 안정성, 신뢰성 관련 주요 내용
|
제32조(인공지능 안전성 확보 의무) ① 인공지능사업자는 학습에 사용된 누적 연산량이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인 인공지능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이행하여야 한다.
1. 인공지능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위험의 식별ㆍ평가및 완화
2. 인공지능 관련 안전사고를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체계 구축
제34조(고영향인공지능과 관련한 사업자의 책무) ① 인공지능사업자는 고영향인공지능 또는 이를 이용한 제품ㆍ서비스를제공하는 경우 고영향인공지능의 안전성ㆍ신뢰성을확보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내용을 포함하는 조치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행하여야 한다.
1. 위험관리방안의 수립ㆍ운영
2.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의 인공지능이 도출한 최종결과, 인공지능의 최종결과 도출에 활용된 주요 기준, 인공지능의 개발ㆍ활용에사용된 학습용데이터의 개요 등에 대한 설명 방안의 수립ㆍ시행
3. 이용자 보호 방안의 수립ㆍ운영
4. 고영향인공지능에 대한 사람의 관리ㆍ감독
|
o (AI 지역확산 사업) 지역의 AI 융합 생태계 조성 및 AI 기술 확산을 위해 (영남)제조업 AI 융합 기반 조성 사업과 (호남)AI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사업추진
- 영‧호남의 AI융합 솔루션 실증과제가 총 39개 진행되고 있고, ‘25년 추가 신규 과제 발굴 및 공모가 예정되어 있음에 따라,
- AI 안정성‧신뢰성을 포함한 AI 품질관리 전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관리체계 수립‧운영 역량 강화 필요
□ 사업목표
o「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에 따른 AI기반 SW의 신뢰성, 안전성 및 품질 확보
o ‘24년 추진한 AI 검‧인증 체계를 바탕으로 과제 유형 분석 및 그에 따른 품질‧신뢰성 확보를 위한 필요 검‧인증 도출 역량 확보
o AI 지역확산 사업 실증과제 참여 기업 실무자의 AI 품질 관리 체계 수립 및 운영 역량 제고 및 AI 검‧인증 획득을 위한 실무 역량 강화
o AI 지역확산 사업을 통해 구축한 AX랩과 지역SW품질역량센터를 연계하여 지역의 AI 품질관리 역량 강화 및 확산
□ 주요 과업내용
주요
과업
|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
⇨
|
AI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
⇨
|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
기대
효과
|
AI 신뢰성‧안전성 확보에 대한 인식 제고
|
주요 AI 검‧인증 체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과제 분석 능력 함양
|
AI 검‧인증 획득 대응을 위한 실무자 역량 향상
|
o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기반으로 AI 신뢰성‧안전성 확보에 대한 인식을 제고 및 대응 방안을 위한 세미나
- AI 기본법이 요구하는 AI 수명 전반에 걸친 위험의 식별‧평가 및 위험의 완화, 안전사고 모니터링‧대응 위험관리체계와 방안 등에 대한 세미나 프로그램 개발
- AI 기본법 대응을 위한 실무 안내서 개발(세미나 교육자료) 및 세미나 추진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추진 예시]
|
대상
|
ㅇ AX랩 운영 인력, AI 지역확산 사업 수행기관 사업 담당자, 지역SW품질역량센터 담당자, AI 지역 확산 사업 참여 기업 및 지역 AI 기술기업 책임자‧실무자 등
|
추진방법
|
ㅇ AX랩 연계 홍보 및 지역 교육 공간 연계
|
세미나 규모
|
ㅇ 8차수*(차수당 N-Day**) 이상, 총 160명 이상
* 세미나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실시를 1차수로 함
** 1회 차수는 하루, 2박3일, 여러 날 개별 지정 등 세미나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
|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산출물]
|
결과물1
|
ㅇ AI 기본법 대응 세미나 계획서
|
결과물2
|
ㅇ AI 기본법 대응을 위한 실무 안내서
- AI 품질관리 및 신뢰성‧안전성 확보에 대한 인식 제고
- AI 기본법 주요 조항에 따른 기업 실무자 대응안 도출
- 관리‧대응 체계 및 운영 방법 등 실무 적용 방안 도출
|
결과물3
|
ㅇ 세미나 결과 보고서
- 세미나 내용 및 추진 결과
- 참석자 만족도 조사
|
o (AI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AI 검‧인증 연구를 통해 도출한 6개 AI 검‧인증 체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과제 유형 분석을 위한 교육 추진
- AI융합 솔루션 실증 과제 및 수행 기업에 필요한 AI 검‧인증 도출 및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AI품질 코디네이터 양성 프로그램 개발
[AI 검‧인증 검‧인증 6종]
|
인증
|
검‧인증 대상
|
주요내용
|
신뢰성 인증
|
개발 프로세스, 시스템 전반, 조직
|
위험관리 및 책임있는 AI 개발‧운영 역량 검사
|
데이터 품질 인증
|
데이터, 조직, 프로세스, 제조
|
데이터 내용 및 관리체계 심사
|
AI융합제품 GS인증
|
AI요소가 포함된 SW제품
|
소프트웨어의 기능, 성능, 보안 등 다양한 측면의 품질 평가
|
AI 모델 및 데이터 검증
|
AI모델/데이터 및 AI 시스템
|
AI융합제품(AI 모델/데이터)의 기능, 성능 검증
|
생산성 검증
|
AI융합사업 실증 결과물
|
AI 도입 전/후의 데이터 비교를 통한 향상률 검증
|
V&V
|
R&D 산출물 및 AI융합 제품 전 영역
|
개발산출물이 해당 단계의 목적과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검증
|
- AI 품질 코디네이터를 위한 교재 개발 및 교육 추진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예시]
|
대상
|
ㅇ AX랩 운영 인력, AI 지역확산 사업 수행기관 사업 담당자, 지역SW품질역량센터 담당자
|
추진방법
|
ㅇ AX랩 및 지역SW품질관리센터 연계지역 교육 공간 활용
|
세미나 규모
|
ㅇ 2차수*(차수 당 N-Day**)이상, 총 60명 이상
*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실시를 1차수로 함
** 한 차수는 하루 이상, 2박 3일, 1박 2일 다수 회 구성, 여러 날 개별 지정 등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
|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산출물]
|
결과물1
|
ㅇ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계획서
|
결과물2
|
ㅇ AI 품질 코디네이터를 위한 교재
- AI 검‧인증 6종에 대한 이해
- AI 검‧인증 도출을 위한 과제 유형 분석 방법
|
결과물3
|
ㅇ 교육 결과 보고서
- 교육 내용 및 추진 결과
- 참석자 만족도 조사
|
o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AI 품질 관리 체계 수립 및 운영 역량을 제고하고 AI 검‧인증 대응 실무 인력을 위한 역량 강화 컨설팅
- AI 검‧인증 6종 중 ’신뢰성 인증‘, ’데이터 품질 인증‘, ’AI 모델 및 데이터 검증‘ 3종*대해 검‧인증 대응 실무자를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 컨설팅 대상 검‧인증 3종은 컨설팅 수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AI 검‧인증 대응 실무자를 위한 매뉴얼 제작 및 컨설팅 추진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예시]
|
대상
|
ㅇ AI 지역 확산 사업 참여 기업 및 지역 AI 기술기업 책임자‧실무자, 지역SW품질역량센터 담당자 등
|
추진방법
|
ㅇ AX랩 연계 홍보 및 지역 교육 공간 연계
|
세미나 규모
|
ㅇ 4차수* 이상(차수당 N-Day**), 총 100명 이상
* 컨설팅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실시를 1차수로 함
** 한 차수는 하루 이상, 2박 3일, 1박 2일 다회 구성, 여러 날 개별 지정 등 컨설팅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
|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산출물]
|
결과물1
|
ㅇ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계획서
|
결과물1
|
ㅇ AI 검‧인증 획득을 위한 실무 대응 매뉴얼
- 컨설팅 대상 검‧인증 3종에 대해 검‧인증 획득 추진 시 고려해야 할 점, 준비 사항등 효율적인 검‧인증 획득 방법론
|
결과물2
|
ㅇ 컨설팅 결과 보고서
- 컨설팅 내용 및 추진 결과
- 참석자 만족도 조사
|
o (기타사항) 원활한 용역 추진 및 전달체계 확보를 위해 사업별 전담인력 지정 후 과업 수행
- 본 용역 수행에 대한 총괄PM 및 세부 사업당 전담인력(책임연구원 이상 각 1명 필수) 배치
- 점검 및 성과 취합 시, 전담기관과 대조 검토 등 협업 추진
□ 사업개요
○ (목적) 제조기업이 보유한 제조데이터 기반 AI솔루션 개발·실증을 통해 제조업 현안 해결 및 AI개발기업 역량 강화 등 제조업 AI융합 기반 조성
○ (사업기간) ’24 ~ ’26(3개년)
○ ('25년 예산) 100억원(국비)
□ 사업내용
○ (제조업 현안 해결 AI오픈랩 구축·운영) AI기술개발 지원 및 AI솔루션 확산을 위한 제조AI오픈랩 구축·운영 및 AI솔루션 도입 어려움 해소를 위한 AI솔루션 도입 컨설팅
○ (제조업 현안 해결 AI기술 개발·실증 지원) 지역별 중점산업* 분야 제조기업의 현장 애로 해결을 위한 기업수요 기반 AI솔루션 개발·실증 지원
* 기계부품(부산), 지능형기계(대구), 화학(울산), 철강(경북), 자동차부품(경남)
□ 사업목표
연도
|
사업 목표
|
2024
|
- 지역별 중점 제조산업 관련 제조현안 해결 AI솔루션 개발·실증(25건)을 통한 산업 생산성 제고(생산성 향상률 5%)
- 제조업 AI융합 기반 조성을 위한 지역별 제조AI오픈랩 구축(5건)
|
2025
|
- 지역별 중점 제조산업 관련 제조현안 해결 AI솔루션 개발·실증(50건)을 통한 산업 생산성 제고(생산성 향상률 6.5%)
- AI기술개발 지원 및 AI솔루션 활용·확산을 위한 AI오픈랩 고도화(1건)
|
2026
|
- 지역별 중점 제조산업 관련 제조현안 해결 AI솔루션 개발·실증(25건)을 통한 산업 생산성 제고(생산성 향상률 7%)
- 제조업 AI융합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AI오픈랩 내 AI모델 개방(50건)
|
□ 사업개요
○ (목적) 농업 데이터를 활용한 AI 융합 솔루션 개발·실증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AI기반 농업의 지능화 기술 확산
○ (사업기간) ‘24 ~ ’28(5개년)
○ ('25년 예산) 72억원(국비)
□ 사업내용
○ (인공지능 자율작업 관제체계 실증) 농기계 원격자율작업, 노지정밀농업, 관제네트워크 분야 AI솔루션 실증·상호 연계하여 지능형 농업기술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 (인공지능 솔루션 서비스 플랫폼 구축) 노지 농업데이터 수집·분석·학습·활용을 위한 AI융합 농업서비스 플랫폼 구축
○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사업화 지원) AI 자율작업·정밀농업 솔루션 기술 고도화․사업화 지원 및 AI농업 서비스 확산 기반 조성
□ 사업목표
○ ('25년 주요 목표) AI 솔루션 실증 13건, 기술사업화 지원 37건, 통합 플랫폼 운영 1건, AI 솔루션 서비스 개발 10건, AI 실증랩 1개소 구축, AI 실증랩 2개소 운영
<주요 성과지표(‘24~‘28년)>
▪ 인공지능 자율작업 관제체계 실증
‣ AI기술 융합 실증 20건
‣ 통합관제시스템 1건
▪ 인공지능 솔루션 서비스 플랫폼 구축
‣ 통합플랫폼 구축 1건
‣ AI솔루션 서비스 개발 20건
▪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기업지원 196건
‣ 전북‧광주‧전남 실증랩 3개소 구축
|
|
[참고2] 지역SW품질역량센터 현황(4개 권역, 11개 센터)
|
동남권SW품질역량센터
|
주관
|
지자체
|
부산광역시
|
기관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11.6
|
KOLAS 지정일(분야)
|
2023.3. (SW, Data)
|
참여①
|
지자체
|
경상남도, 창원시
|
|
|
선정일
|
2011.6
|
기관
|
경남테크노파크
|
참여②
|
지자체
|
부산광역시
|
KOLAS 지정일(분야)
|
2020.7(SW)
|
선정일
|
2011.6
|
|
|
장비 현황
|
Load Runner, Endecryptor,LDRA (TBrun, Testbed), Sparrow DAST, Atam 등
|
시설현황
|
|
호남권SW품질역량센터
|
주관
|
지자체
|
광주광역시
|
기관
|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10. 12.
|
KOLAS 지정일(분야)
|
2023.12(SW)
|
참여①
|
지자체
|
전라남도
|
기관
|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12. 11.
|
KOLAS 지정일(분야)
|
2023.9.27(SW)
|
참여②
|
지자체
|
전주시
|
기관
|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10. 12.
|
KOLAS 지정일(분야)
|
2020.11(SW)
|
장비 현황
|
Codesonar, QAC/QAC++, codescroll code inspector(C, C++, java),CodeScroll 등
|
시설현황
|
|
충청권SW품질역량센터
|
주관
|
지자체
|
대전광역시
|
기관
|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13.7
|
KOLAS 지정일(분야)
|
2021.11(SW)
|
참여①
|
지자체
|
충청북도
|
기관
|
충북과학기술혁신원
|
선정일
|
2013.7
|
KOLAS 지정일(분야)
|
-
|
참여②
|
지자체
|
충청남도
|
기관
|
충남테크노파크
|
선정일
|
2013.7
|
KOLAS 지정일(분야)
|
-
|
장비 현황
|
Sparrow SAST/SAQT, Controller Tester, Quality Scroll Cover PC ,SPARROW 등
|
시설현황
|
|
대경권SW품질역량센터
|
주관
|
지자체
|
대구광역시
|
기관
|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
선정일
|
2014.11.
|
KOLAS 지정일(분야)
|
2019.6.(SW)
|
참여①
|
지자체
|
경상북도
|
기관
|
포항테크노파크
|
선정일
|
2018.06.
|
KOLAS 지정일(분야)
|
2022.06.(SW)
|
참여②
|
지자체
|
울산광역시
|
기관
|
울산정보산업진흥원
|
선정일
|
2021. 2.
|
KOLAS 지정일(분야)
|
2020.11(SW)
|
장비 현황
|
DSOX4024A, E5072A, 4438C, 33512B, N9020A, IQxel80, PXIe-1071, Process 등
|
시설현황
|
|
2. 기타 요청사항
□ 조직 및 인력 투입 방안
o 제안사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조직체계, 운영 방안 및 기술지원을 위한 지원체계 등을 제시
- 원활한 사업수행 및 관리, 전달체계 확보를 위해 제안사는 사업관리자 및 세부과제 수행책임자를 지정
o 제안사의 참여인력은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적절한 인력 수준을 제시
- 사업관리자(PM)는 본 사업의 참여를 원칙으로 함
- 제안사는 사업수행 시 제안서에 명시된 참여인력으로 과제를 수행해야 하며, 수행인력의 업무진척도 및 수행능력이 사전에 계획한 일정에 비해 현저하게 부진한 경우, 발주기관은 수행인력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에 해당자를 교체하여야 함
□ 업무수행 조건
o 제안사는 착수회의 이전에 사업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구체적인 일정 및 참여인력 등 세부 사업수행계획을 수립한 후 제출하여야 함
o 각 과제별로 진행되는 사업화 전략 수립 경과에 대해 사업수행 과정에서의 보고체계를 마련하여 수시 보고하여야 하며, 중간보고서, 최종보고서 등은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다만 보고서 형태, 시기 및 방법은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결정
o 과업수행 결과에 대한 보완 의무
- 각종 행정절차 등의 이행이 완료되어야 본 사업 과업이 완료된 것으로 봄
o 제안서에 제출된 참여인력은 반드시 본 사업에 투입되어야 하며, 우리원과 협의 후 변경할 수 있음
- 특별한 사정에 의한 수행사업자의 사업책임자 등 주요 인력변경 사항 발생시 우리원에 반드시 사전통보 및 변경신청하여 승인 획득
□ 보안조치
o 본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수집 또는 수행결과로 발생되는 모든 정보는 보안사항으로 관리하며, 정보를 공개하고자 할 경우에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여야 함
o 본 사업과 관련한 자료의 외부누출과 보안사항 불이행 등으로 사회적인 물의 또는 민원 발생 시 관련법령에 따라 처리함
3. 산출물 제출 및 보고사항
o 산출물의 제출 및 검토·승인
- 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업수행계획서를 제출하고 검토·승인 후 사업을 착수하여야 함
- 사업수행계획서 제출 시에는 작업(공정) 및 산출물을 기준으로 상세 일정계획을 함께 제출하고 검토·승인을 받아야 함
- 작성된 산출물은 반드시 정해진 제출시기에 작성·제출하여 발주기관의 검토 및 승인을 득하여야 함
o 본 사업을 통해 산출되는 모든 산출물*은 발주기관에 제출하며, 필요한 자료 제공 및 지원에 적극 협조하여야 함
* 사업수행계획서, 착수‧중간‧최종보고서, 회의록, 조사‧분석 자료 등 사업화 전략 수립 수행과 관련된 산출물
o 정부 정책 중 하나인 좋은 일자리 창출의 간접고용효과 확인을 위한 자료를 제출하여야 함 (제출 필수)
<주요 일자리 창출 지표>
구분
|
일자리수
|
구분
|
가입률
|
총 일자리
|
명
|
평균 4대 보험
가입률
|
고용보험
|
%
|
신규 채용수
|
명
|
건강보험
|
%
|
정규직 수
|
명
|
국민연금
|
%
|
청년(만18~34세) 직원 수
|
명
|
산재보험
|
%
|
* 제출시기 : 사업종료 후 검수 시점
o 산출물 작성 및 제출목록
구분
|
제출시기
|
수량
|
유형
|
보고
|
착수보고서
|
착수보고 시
|
-
|
파일
|
중간보고서
|
중간보고 시
|
-
|
파일
|
최종보고서
|
최종보고 시
|
-
|
파일
|
공통
|
사업수행계획서
|
계약체결 후 10일 이내
|
-
|
파일
|
주간/월간보고서
|
주간/월간
|
-
|
파일
|
,AI기본법 대응 세미나
|
AI기본법 대응 세미나 계획서
|
세미나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 기본법 대응을 위한 실무 안내서
|
세미나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기본법 대응 세미나 결과보고서
|
세미나 종료 후 14일 이내
|
-
|
파일
|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계획서
|
교육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 품질 코디네이터를 위한 교재
|
교육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 품질 코디네이터 교육 결과보고서
|
교육 종료 후 14일 이내
|
-
|
파일
|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계획서
|
컨설팅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 검‧인증 획득을 위한 실무 대응 매뉴얼
|
컨설팅 수행 14일전
|
-
|
파일
|
AI 검‧인증 실무 컨설팅 결과보고서
|
컨설팅 종료 후 14일 이내
|
-
|
파일
|
* 최종보고서는 요약보고서, 결과보고서, 의견수렴 회의 관련 자료 및 사진, 보도기사 등을 포함
※ 구체적 일정 및 방법 등은 우리원과 협의 후 실시
o 정기 및 수시보고
- 사업수행 진척상황 및 주요 이슈 등을 공유하기 위해 다음의 보고 유형에 따라 착수보고, 수시보고, 최종보고 등을 수행하여야 함
보고유형
|
주요내용
|
시기
|
보고방법
|
착수보고
|
o 사업수행계획 보고
o 사업수행방안 협의
|
사업 착수 시
|
보고회, 서면
|
주간/월간보고
|
o 주간(월간) 실적 및 차주 계획
|
주간/월간보고 시
|
서면
* 필요시 대면
|
수시보고
|
o 주요 현안 및 의사결정 요청사항
|
필요 시
|
회의, 서면
|
중간보고
|
o 추진계획 대비 실적보고
- 계획 및 일정 변경사항 보고
- 주요 추진내용 및 단계별 결과
|
중간보고 시
|
회의, 서면
|
최종보고
|
o 사업 추진결과 보고
|
완료보고 시
|
보고회, 서면
|
o 사업 관련 자료 파일 제출
- 최종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본 사업 수행결과물로 발생되는 모든 자료(각종 보고서 등)
- 공동수급(공동이행방식)으로 참여하는 경우, 보고서는 통합된 형태로 작성하여 제출 및 보고
-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과 계획대비 실적이 매우 부진한 사항에 대해서는 발주기관에 즉시 보고하여야 함
4. 유의사항
o 제안내용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추가 자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안사는 이에 응하여야 함
o 본 용역을 추진함에 있어 발생하는 저작권, 사용권 또는 특허, 모든 제작물(이미지, 사진 등) 등 관련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한 책임 및 비용은 모두 계약상대자에게 있음
o 제안사의 제안내용에 대하여 수정, 보완, 변경 등이 필요할 경우 발주기관과 제안사가 상호 협의하여 정함
o 본 사업수행 결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발주기관과 계약상대자가 공동으로 소유함. 다만, 계약목적물의 특수성(보안, 영업비밀 등)을 고려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를 통해 지식재산권 귀속주체 등에 대해 공동소유와 달리 정할 수 있음
III. 제안서 평가기준 및 작성방법
□ 기술능력평가 및 입찰가격평가
o 종합평가점수(100%) = 기술능력평가(90%) + 입찰가격평가(10%)
o 기술능력평가 항목 및 배점
평가항목
|
세부평가항목
|
평가 기준(항목설명)
|
배점
|
사업일반
(30)
|
사업이해도
|
o 사업목표 및 내용 이해도
o 제안요청내용과의 부합성
|
10
|
AI 품질 검‧인증 관련 전문성
|
o AI 품질 관리 및 검‧인증 관련분야 전문성 및 강점
|
10
|
AI 컨설팅 관련 전문성
|
o AI 교육‧컨설팅 관련분야의 전문성 및 강점
|
10
|
사업수행
(30)
|
추진전략
|
o 사업추진 목표 및 전략의 우수성
o 사업수행방법의 효과성 및 타당성
|
10
|
수행방안
|
o 추진방법의 구체성, 제안내용의 적정성, 및 실현가능성
o 과제 세부 활동 도출 및 사업관리 방안의 타당성
|
10
|
수행조직
|
o 조직체계의 적정성 및 인력배분의 적절성
o 참여인력의 전문성
|
10
|
사업관리
(30)
|
관리방안 및 보안
|
o 일정계획의 적정성 세부 활동 도출 및 기간의 타당성
o 사업 수행과정에서 취득한 자료·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의 적절성
|
10
|
품질관리
|
o 산출물의 구체성 및 우수성
o 산출물의 객관성 확보 방안 및 품질보증활동에 대한 구체성, 실현 가능성
|
10
|
보고
|
o 진척관리, 위험관리, 보고체계의 적정성
|
10
|
계
|
90
|
※ 기술평가 점수 동점 시 우선순위 : ①사업수행, ②사업일반, ③사업관리
o 기술능력평가 방식
- 공정한 평가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
- 기술능력평가 항목 및 배점한도 기준에 따라 심사하며, 평가방식은 발주기관 지침(계약자선정평가지침)을 따름
- 평가 일정은 입찰마감 후 평가담당자가 개별 통보
(발표자료(pdf 파일), 발표 20분 / 질의응답 20분)
* 발표자료는 제안서 외 추가 파일로 제출(pdf)
o 제안발표 유의사항
- 제안발표는 제안서에 명시된 사업관리자(PM)가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동영상 등을 이용한 간접 발표는 불허 (업체 불참 시 서면평가 실시)
- 발표는 제안내용을 중심으로 해야 하며, 임원 인사 등 제안사 홍보 관련 내용은 포함할 수 없음
o 입찰가격 평점산식 : 기획재정부(계약예규)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기준(입찰공고일자 현재용) 입찰가격 평점산식에 따름
□ 제안서의 효력
o 제안서에 제시된 내용 및 상호 협의하여 수정/보완 변경된 내용은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더라도 계약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짐. 다만,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는 계약서가 우선함
o 제안서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국가계약법령 및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정부입찰·계약 집행기준, 용역계약일반조건, 물품구매(제조)계약일반조건, 공사계약일반조건 등) 등 관련 규정에 의함
□ 제안서 작성 유의사항 (권장사항)
o 제안서의 내용은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여야 함. 예를 들어, ‘사용가능 하다’, ‘할 수 있다’, ‘고려하고 있다’ 등과 같이 모호한 표현은 평가 시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며, 계량화가 가능한 것은 계량화하여야 함
o 본 사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면서 취득한 정보에 대해서는 비밀을 유지하여야 함
o 제안서의 각 페이지는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페이지 하단 중앙에 일련번호를 붙이되, 각 장별로 번호를 부여함
o 제안서는 한글(국어)작성이 원칙이며, 사용된 영문약어에 대해서는 약어표를 제공해야 함
o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함
□ 제출 서류 목록
o ① 정성제안서 1식(별지 서식 포함)
o ② 제안요약서(발표자료) 1식
o ③ 기타 증빙서류(제안서 증빙자료 등*) 1식
* 자격증, 재직증명서,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 등
□ 제안서 작성방법
- 제안서 표지에 사업관리자(PM) 연락처(전화번호, e-메일 등) 기재
작 성 항 목
|
작 성 방 법
|
Ⅰ. 제안개요
1. 제안 목적
2. 수행범위
3. 제안의 특징 및 장점
|
◦ 제안사는 해당사업의 제안요청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본 제안의 목적, 범위, 전제조건, 제안내용의 핵심기술전략, 제안의 특징 및 장점을 요약하여 기술
|
Ⅱ. 제안사 일반
1. 일반현황
2. 조직 및 인원
|
◦ 제안사의 일반현황 및 주요 연혁 기술
◦ 제안사의 조직 및 인원현황 제시
|
Ⅲ. 사업수행부문
1. 개요
2. 추진목표 및 전략
3. 주요 사업내용
4. 세부과제별 추진방안
5. 결과물 제출계획
|
◦ 본 사업의 수행에 관한 대략적인 개요를 기술
◦ 본 사업의 추진목표 및 전략을 제시
◦ 본 사업의 주요 사업내용을 기술
◦ 제안요청 내용 세부항목의 추진 방안 및 계획 제시
⋅ 세부과제 체계 및 전략 제시
⋅ 각 요청사항별 방안 제시
⋅ 결과를 토대로 한 보고서 작성방안 제시
◦ 사업완료 시 결과물 제출 내역 및 활용방안
|
Ⅳ. 사업관리 부문
1. 추진일정 계획
2. 업무보고 및 검토계획
3. 수행조직 및 업무분장
4. 참여인력 및 이력사항
5. 기밀보안사항
|
◦ 사업 추진일정을 상세히 제시
◦ 사업기간 동안 이루어질 보고 및 검토계획을 상세하게 제시
- 주간 보고 및 최종 완료보고, 단계별 검토회의 등
◦ 본 사업을 수행할 조직 및 업무분장 내용을 상세히 제시
◦ 본 사업을 수행할 인력을 작업 단위별로 제시
◦ 본 사업과 관련한 기밀 및 보안관리 방안 제시
|
V. 결과 활용성 부문
|
◦ 과제 수행 결과물의 활용 분야 및 활용성 제고방안 제시
|
Ⅵ. 첨부자료
|
◦ 제안서 이외의 별지서식 자료 등
* 기타 제출 서류 목록을 작성하여 첨부
|
IV. 입찰안내
□ 입찰방식 : 제한경쟁입찰(공동수급(공동이행))
※ 공동수급체 구성원은 대표사를 포함하여 5개 이하로 구성하여야 하며, 구성원별 계약참여 최소지분율은 1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입찰참가자격
o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 입찰참가자격 등록규정에 따라 입찰마감 전일까지 나라장터에 학술연구용역(업종코드 : 1169)으로 입찰참가자격을 등록한 자
o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자 및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으로서 중소기업 범위 및 확인에 관한 규정에 따라 발급된 <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를 소지한 자 (또는 비영리법인)
□ 낙찰자 선정방식 : 협상에 의한 계약
o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사업내용, 이행방법, 이행일정 등 제안서 내용을 대상으로 기술협상을 실시하며,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내용을 대상으로 일부 수정, 보완하여 그 내용의 일부를 조정
o 협상순위에 따라 협상하며, 협상기간은 협상개시를 통보한 날로부터 15일 이내로 하되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이 성립된 때에는 다른 차순위자와 협상을 하지 않음
o 협상순위는 종합평가점수의 고득점 순에 의하여 결정하며, 기술능력평가 점수가 기술능력평가분야 배점한도의 일정비율(85%)이상 인 업체를 협상대상자로 선정
o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결렬 시, 동일한 기준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순위자와 협상을 실시하며, 모든 협상대상자와 협상이 결렬된 경우에는 재공고 입찰이 가능함
□ 기타 유의사항
o 낙찰자는 사업담당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세부 사업수행계획서(세부 추진계획, 추진일정표, 추진체계도 등)를 사업담당팀으로 제출하여야 함
o 발주기관의 사전 승인 없이 하도급을 할 수 없음
o 입찰서 제출 이후에 공동수급체 구성원을 새롭게 구성, 기존의 공동수급체 구성원을 변경할 수 없음
o 계약체결 후 대금(선금/잔금/기성) 신청서류 제출 시, 4대 사회보험료 완납증명서(사업장)를 함께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o 본 용역은 상생결제시스템을 통해 계약대금이 지급 될 수 있습니다.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상생결제시스템(우리상생파트너론)을 통한 대금지급을 시행하여, 안전한 대금결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상생결제 : 거래기업이 결제일에 현금을 지급받고, 공공기관 신용도 수준의 낮은 금융비용으로 결제대금을 조기에 현금화 할 수 있는 전자적 대금결제 시스템(결제수단)입니다.
* 상생결제를 이용하시면, 안전한 대금회수, 자금유동성 개선, 금융수익 세제혜택 등 기업성격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상생결제제도 홈페이지 : https://www.winwinpay.or.kr/index.do
□ 안내 및 문의
o 사업관련 : 지역디지털산업팀 정태일 수석 (043-931-5932)
* 사업내용, 제안서 작성방법 및 심사기준, 제안발표 일정 등
Ⅴ. 별지서식
[별지 제1호] 제안서에 포함
일반현황 및 연혁
회 사 명
|
|
대 표 자
|
|
사업분야
|
|
주 소
|
|
전화번호
|
|
설립년도
|
년 월
|
해당부문
종사기간
|
년 월 ~ 년 월 ( 년 개월)
|
주요연혁
|
|
|
|
※ 공동수급인 경우, 구성원별 각자 작성
[별지 제2호] 제안서에 포함
참여인력(상주인력) 이력사항
성 명
|
|
소 속
|
|
직 책
|
|
연 령
|
세
|
자격증
|
|
해당분야근무경력
|
년 월
|
본사업
역 할
|
|
사업참여
기 간
|
|
참여율
|
%
|
o 본 사업 참여역할과 연관된 수행업무 중심으로 기재(최근참여 사업 순 기재)
o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등에 의한 파견근로자인 경우에는 파견업체명과 원소속사를 함께 명기하여야 함
(예시) 업체명 (원소속사명)
o 참여인력의 참여사항은 총사업기간 또는 실제 사업참여 기간으로 구분하여 기재
(예시) 총 사업기간 5개월 중, 참여인력이 2개월간 100% 투입되는 경우
- 총사업기간에 5개월 또는 00년 0월 ~ 00년 0월로 기재, 참여율은 40%로 기재
- 총사업기간에 2개월 또는 00년 0월 ~ 00년 0월로 기재, 참여율은 100%로 기재
[별지 제3호] 제안서에 포함
평가항목 참조표
평가 항목
|
평가 요소
|
배점
|
주요 페이지
|
사업이해도
|
o 사업목표 및 내용 이해도
o 제안요청내용과의 부합성
|
10
|
p.##∼##
|
AI 품질 검‧인증 관련 전문성
|
o AI 품질 관리 및 검‧인증 관련분야 전문성 및 강점
|
10
|
p.##∼##
|
AI 컨설팅 관련 전문성
|
o AI 교육‧컨설팅 관련분야의 전문성 및 강점
|
10
|
p.##∼##
|
추진전략
|
o 사업추진 목표 및 전략의 우수성
o 사업수행방법의 효과성 및 타당성
|
10
|
p.##∼##
|
수행방안
|
o 추진방법의 구체성, 제안내용의 적정성, 및 실현가능성
o 과제 세부 활동 도출 및 사업관리 방안의 타당성
|
10
|
p.##∼##
|
수행조직
|
o 조직체계의 적정성 및 인력배분의 적절성
o 참여인력의 전문성
|
10
|
p.##∼##
|
관리방안 및 보안
|
o 일정계획의 적정성 세부 활동 도출 및 기간의 타당성
o 사업 수행과정에서 취득한 자료·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의 적절성
|
10
|
p.##∼##
|
품질관리
|
o 산출물의 구체성 및 우수성
o 산출물의 객관성 확보 방안 및 품질보증활동에 대한 구체성, 실현 가능성
|
10
|
p.##∼##
|
보고
|
o 진척관리, 위험관리, 보고체계의 적정성
|
10
|
p.##∼##
|
계
|
9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