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정보 > 입찰공고 현황 > 용역
1. 공고일반 ※ 회원가입 후 시그니처 입찰시스템을 활용해보세요!
공고번호 R25BK00956930-000 공고일시  2025/07/14 14:42
공고명 2025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공고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수요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공고담당자 안혜진(☎: 043-931-5172) 과업설명 제한여부
입찰방식 전자시담 계약방법 수의계약
용역구분 국제입찰구분  
 
2. 입찰일시
입찰개시일시 2025/07/15 10:00 과업설명일시
공동협정서마감일시 2025/07/14 18:00  PQ신청서 신청기한
참가신청 신청기한    
입찰(투찰)마감일시 2025/07/15 12:00 개찰(입찰)일시 2025/07/15 13:00
 
3. 입찰금액
기초금액
0 원
   
배정예산
70,000,000 원
   
추정가격
63,636,364 원
낙찰하한율
-
 
4. 입찰공고서 원문
 

 

 

 

 

 

 

 

「 2025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용역 

 

제 안 요 청 서 

 

 

 

 

 

 

 

 

2025. 06.  

 

 

 

 

 

 

 

사업 

담당 

메타버스본부 

메타버스전략팀 

김혜인 책임 

☏ 043-931-5614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기업민원 보호․서비스헌장 

 

 

우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 임․직원은 기업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민원대응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진흥원․기업 간 소통신뢰 민원행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노력할 것을 기업고객에게 약속드립니다. 

하나. 우리는 기업 불편을 초래하는 불합리한 규제, 제도나 관행을 수시로 정비ㆍ개선하여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규제개선, 애로제기 등에 관하여 의견을 제출한 기업고객에 대하여, 어떠한 불이익을 주거나 차별을 하지 않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기업고객께서 불이익이나 차별을 받은 경우, 이를 조사하여 적절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것이며, 그러한 잘못의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규제, 제도, 정책을 수립, 이행하는 전 과정에서 기업고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기업고객께서 신뢰할 수 있도록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Ⅰ. 사업개요                                                                 1 

 

 

 

 Ⅱ. 제안요청내용                                                          4 

 

 

 

 Ⅲ. 제안서 평가기준 및 작성방법                             14  

 

 

 

 Ⅳ. 입찰안내                                                               19  

 

 

  

 Ⅴ. 별지서식                                                               22 

 

 

 

 

 

 

 

 

 

 

 

 

 

Ⅰ. 사업개 

1. 사 업 명 : 2025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 본 과제는 방송통신발전기금(비R&D) 디지털콘텐츠 산업생태계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과제로 관련 규정의 적용을 받습니다. 

 

2. 사업금액 : 70,000,000원 (부가가치세 포함) 

 

3. 사업기간 : 계약 체결일 ~‘25. 12. 9.(화) 

 

4. 추진배경 및 필요성 

 

 o 콘텐츠 산업의 디지털전환 가속화와 VR·AR,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 융합콘텐츠가 확산하면서 전방위산업에서 핵신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o 디지털콘텐츠 소비 확대와 기술 및 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성장 기반 조성을 위한 시의성 있는 기초 통계자료 필요성 증가 

   ※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제8조·제21조에 근거 

 

5. 추진목적 또는 추진목표 

 

 o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수립과 방향설정에 필요한 산업 실태파악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 제공 

  

6. 주요내용 : 세부내용은 ‘Ⅱ. 제안요청내용’ 참조 

 

 o 통계자료 지표 보정 및 산출(국내 및 국외) 

 

 o 디지털콘텐츠 산업 분류체계 고도화 및 개선 

 

 o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수행 

 

   - 조사 문항 보완 및 조사 설계 

 

   - 조사 모집단 설정 및 표본 설계 

 

   - 조사 품질 관리 및 자료 처리·분석 

 

 o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 동향 조사 

 

 o 디지털콘텐츠산업 정책적 제언 

7. 추진일정 및 절차 

절차 

 

일정 

 

수행기관 

 

주요 내용 

 

 

 

 

 

 

 

입찰공고 

 

6월 

 

발주기관 

 

용역 입찰공고 

 

 

 

 

 

 

 

제안접수마감 

 

7월 

 

발주기관 

 

제안서 접수마감 

 

 

 

 

 

 

 

평가․선정 

 

7월 

 

발주기관 

 

기술제안서 평가 

 

 

 

 

 

 

 

기술 협상 

 

일정 통보 

 

발주기관, 제안사 

 

 기술협상 

 

 

 

 

 

 

 

계약체결 

 

2025.7월 중 

 

발주기관, 

제안사 

 

계약체결   

 

    ※ 상기 일정은 일부 변경될 수 있음 

 

 

 

 

 

 

 

 

 

 

 

 

 

 

Ⅱ. 제안요청내용 

1. 제안 요청사항 

 

□ 사업개요 

 

 o 과제명 : 2025년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o 사업비 : 70,000,000원(부가가치세 포함) 

 

 o 용역기간 : 계약 체결일로부터 ’25년 12월 9일(화)까지 

 

 o 입찰방식 : 제한경쟁입찰(공동이행방식만 공동수급 허용) 

 

□ 추진배경 및 필요성 

 

 o 콘텐츠 산업의 디지털전환 가속화와 VR·AR,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 융합콘텐츠가 확산하면서 전방위산업에서 핵신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o 디지털콘텐츠 소비 확대와 기술 및 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성장 기반 조성을 위한 시의성 있는 기초 통계자료 필요성 증가 

 

□ 사업목표 

 

 o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수립과 방향설정에 필요한 산업 실태파악을 위한 기초 통계자료 제공  

 

□ 주요 과업내용 

 

 가. 통계자료 지표 보정 및 산출 

 

  o 국내 : ’25년 콘텐츠산업 통계 등 디지털콘텐츠 관련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23년 디지털콘텐츠산업 매출액 보정 및 ‘24년∼’27년 시장규모 추정(‘24년 보고서) 

 

     ※ 보고서의 인쇄는 컬러본으로 10부(B5 용지 규격) 제출(~7월) 

 

  o 국외 : PWC 자료를 활용하여 ’25년 ICT 산업주요 통계 수첩에 반영할 세계 콘텐츠, 세계 디지털콘텐츠, 한국 디지털콘텐츠, 한국 비중 등 자료 산출 

     ※ ‘24년∼’28년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PwC) 자료는 발주기관에서 제공 

     ※ ‘25년 ICT 통계수첩(디지털콘텐츠 매출액, 세계 및 국내디지털콘텐츠 시장 규모) 수록(~9월) 

 

 나. 디지털콘텐츠 산업 분류 세부정의 현행화 

 

  o 기존 디지털콘텐츠산업 분류 세부정의 검증·개선을 위한 전문가 자문 

 

   - 콘텐츠산업의 환경·기술 변화에 따른 디지털콘텐츠산업 분류 세부 정의 현행화 및 고도화를 통한 조사 적절성·신뢰도 확보 

 

     전문가 구성 추천 명단(소속, 직책, 이름, 연락처, 전문분야(실태조사, 디지털콘텐츠) 등)을 기재하여 4∼5명 내외로 제시하여야 하며 운영에 필요한 일체 비용은 제안사에서 부담함 

 

 다. 디지털콘텐츠 실태조사 수행 

 

  1. 조사 문항 보완 및 조사 설계 

 

  o 디지털콘텐츠산업 현황 조사표 설계 

 

   - 최근 3년간 조사 결과와 최신 트렌드 및 정책을 반영하고 응답률을 고려한 조사 수정 설계 및 문항 개선 

구분 

내용 

o 일반 현황 

- 회사명, 설립년도, 대표자명, 대표자 이메일, 대표전화, 팩스번호, 주소, 홈페이지 주소 

-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회사 전체 매출, 기업형태, 상장여부, 벤처기업 지정여부 

- 해외법인 보유여부, 성장단계 등 

o 매출 및 

  투자유치 현황 

- 가상융합기술 매출 발생 여부 

-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디지털콘텐츠 국내/해외 매출 비중 

- 2023년, 2024년, 2025년(예상) 디지털콘텐츠 분야별 매출 비중 

- 2024년 디지털콘텐츠 분야별 판매대상별, 유통채널별, 가치사슬별 매출 비중 

- 2026년, 2027년, 2028년 디지털콘텐츠 분야별 국내 매출 전망 

- 2026년, 2027년, 2028년 디지털콘텐츠 분야별 국내 산업 규모 전망 

- 2024년, 2025년(예상) 국내․외 투자유치 여부, 향후 투자유치 의향  

- 투자유치 시 가장 큰 애로사항 등 

o 수출 및         해외진출 현황 

- 2024년 디지털콘텐츠 수출 여부 및 비중 

- 2024년 디지털콘텐츠 수출국별, 수출형태별, 수출경로별 비중 

- 향후 수출 또는 해외진출 희망 국가 

- 해외진출 활동 관련 추진활동/애로사항/필요활동 등 

o 인력 현황 

- 2023년, 2024년, 2025년(조사일 기준) 총 종사자 수, 디지털콘텐츠 인력, 직무별 인력 비중 

- 2025년(조사일 기준) 디지털콘텐츠분야별 인력비중 

- 2025년(조사일 기준) 디지털콘텐츠 세부 인력 비중(성별/고용형태/연령/학력/경력) 

- 신규 채용(예정) 인원 현황 

- 고용 인력에게 제공하고 있는 복지 등 

o R&D 현황 

- R&D 조직 여부, R&D 인력 수, R&D 예산(2024년, 2025년(잠정)), 시기별 특허 및 기술인증건수 

o 메타버스 기술 현황 

- 메타버스 기술 활용 여부, 메타버스 준비도(인력/기술/자금), 메타버스 기술 인지도, 활용 의향, 필요성 등 

o 정부지원 및     규제현황 

- 참여 여부, 지원 형태, 미치는 영향, 규제 여부 등 

 

 

 

   - 제안사는 우리원 및 자문진과 협의 후 최종 설문지를 확정하고, 디자인/웹 구성/인쇄 등 제반업무 수행 

 

  o 복합조사(온라인, 전화, 이메일, 팩스 등) 추진에 따른 진행 방법 제시 

 

   - 각 조사 특성에 맞는 체계적 조사 일정 수립 

 

 2. 조사 모집단 설정 및 표본 설계 

 

  o 조사 모집단 현행화 

 

   - 2025년 기준 국내에서 디지털콘텐츠산업을 영위하면서, 2024년 매출이 발생한 기업을 조사 대상으로 함 

 

     ※ 개선한 디지털콘텐츠산업 분류체계 및 한국표준산업분류(10차) 매칭을 따름 

 

   - 통계청 경제총조사 및 한국평가데이터(KoDATA) 등의 기업정보사 자료를 통한 목표 모집단 설정 및 유효성 검증을 통한 조사 모집단 설정 

     ※ 기업정보사 자료 등 모집단 설정을 위해 필요한 일체 비용은 제안사가 부담 

 

  o 조사 모집단을 대상으로 표본 설계 실시 

 

   - 디지털콘텐츠산업 실태조사 결과의 정확도·신뢰도 제고를 위한 표본 추출 방법*을 제안(목표 응답 표본 수 1,800개 이상) 

 

     * (예시) 산업분류별·종사규모별 제곱근 비례할당 표본추출(1차), 계통표본추출(2차) 

 

   - 분야별로 모집단 규모에 따라 디지털콘텐츠 기업을 전수층, 표본층으로 구분하여 조사 실시 

     ※ 전수층 조사 누락 데이터에 대한 대책 방안 및 보정(안) 마련 

 

 3. 조사원 교육 

 

  o 조사원 대상으로 본 조사의 이해도 향상 교육 추진 

 

   - 디지털콘텐츠산업 및 실태조사에 대한 조사원 이해도 향상, 복합조사 응답 기준 일관성 확보를 위한 조사원 교육 추진 

 

   - 조사 일정에 맞는 체계적 실태조사 추진 

 

 4. 조사 품질 관리 

 

  o 조사 품질 제고를 위한 전문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조사 설계·수행·분석 과정 자문 및 검증·개선  

 

     전문가위원회 구성 추천 명단을 소속, 직책, 이름, 연락처, 전문분야(실태조사, 디지털콘텐츠) 등을 기재하여 4∼5명 내외로 제시하여야 하며 운영에 필요한 일체 비용은 제안사에서 부담함 

 

  o 조사 품질관리 기본 계획 수립·제출 및 이행 

 

   - 응답 목표 달성 및 원표본 조사 성공률 제고 방안 제시(응답 거부 대처, 인센티브 마련 등) 

 

     ※ 응답 회수 목표 미달성시 미달성에 대한 해결방안 마련 

 

   - 항목 무응답 관리(추가 유선조사), 취합자료 검증(타 행정자료 연계) 수행 

 

   - 조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본·비표본 오차 최소화 방안 제시 

 

 5. 자료 처리 및 분석 

 

  o 조사 결과 펀칭, 코딩, 데이터 클리닝 등 데이터 처리 및 가공 

 

     ※ .xlsx, .sav형식의 원자료 및 교차표 제공 

 

  o 데이터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검증 조사 실시 

 

     ※ 검증 조사 규모 및 방법은 제안사에서 제시 

 

  o 일반현황, 매출 및 투자유치현황, 수출현황, 인력현황, R&D현황 등 각 구분별 및 분야별 조사 결과 분석·추정 

 

   - 매출의 경우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 분야별 시장규모(‘24년) 보정 및 분야별 시장전망(‘25년~’28년) 추정 

 

     단, 조사 시 DC산업분류별 자료의 한계가 있을 경우 일부 조정 가능 

 

  o 통계분석 결과 기반 최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작성 

 

  - 실태조사 설문 결과 해석 및 디지털콘텐츠산업 추세에 대한 원인과 분석, 향후 산업 전망, 결론 및 제언 등을 도출 

 

  - 조사분석 결과 요약문 작성 및 부처 요구자료 대응 

 

 라.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 동향 조사 

 

  o 주요 산업별 국내 디지털콘텐츠 기업·시장 동향 조사 및 신규 트렌드 등 조사 

 

 마. 디지털콘텐츠산업 정책적 제언 

 

  o 실태조사 및 시장 동향 조사 결과 종합분석 및 디지털콘텐츠산업 진흥을 위한 중장기적 추진방향 정책적 제언 

 

  - 산업 생태계 구조 파악,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 및 방향성 도출 등 

 

2. 기타 요청사항 

 

□ 조직 및 인력 투입 방안 

 

 o 제안사는 본 사업과 관련하여 조직체계, 운영 방안 및 기술지원을 위한 지원체계 등을 제시 

 

  - 원활한 사업수행 및 관리, 전달체계 확보를 위해 제안사는 사업관리자 및 세부과제 수행책임자를 지정 

 

 o 제안사의 참여인력은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적절한 인력 수준을 제시 

 

  - 사업관리자(PM)는 본 사업의 참여를 원칙으로 함 

 

  - 제안사는 사업수행 시 제안서에 명시된 참여인력으로 과제를 수행해야 하며, 수행인력의 업무진척도 및 수행능력이 사전에 계획한 일정에 비해 현저하게 부진한 경우, 발주기관은 수행인력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에 해당자를 교체하여야 함  

 

□ 업무수행 조건 

 

 o 제안사는 착수회의 이전에 사업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구체적인 일정 및 참여인력 등 세부 사업수행계획을 수립한 후 제출하여야 함 

 

 o 각 과제별로 진행되는 사업화 전략 수립 경과에 대해 사업수행 과정에서의 보고체계를 마련하여 수시 보고하여야 하며, 중간보고서, 최종보고서 등은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다만 보고서 형태, 시기 및 방법은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결정 

 

□ 보안조치 

 

 o 본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수집 또는 수행결과로 발생되는 모든 정보는 보안사항으로 관리하며, 정보를 공개하고자 할 경우에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여야 함 

  

 o 본 사업과 관련한 자료의 외부누출과 보안사항 불이행 등으로 사회적인 물의 또는 민원 발생 시 관련법령에 따라 처리함 

 

3. 산출물 제출 및 보고사항 

 

 o 산출물의 제출 및 검토·승인 

 

  - 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업수행계획서를 제출하고 검토·승인 후 사업을 착수하여야 함 

 

  - 사업수행계획서 제출 시에는 작업(공정) 및 산출물을 기준으로 상세 일정계획을 함께 제출하고 검토·승인을 받아야 함  

 

  - 작성된 산출물은 반드시 정해진 제출시기에 작성·제출하여 발주기관의 검토 및 승인을 득하여야 함 

 

 o 본 사업을 통해 산출되는 모든 산출물*은 발주기관에 제출하며, 필요한 자료 제공 및 지원에 적극 협조하여야 함 

 

   * 사업수행계획서, 착수‧중간‧최종보고서, 회의록, 조사‧분석 자료 등 사업화 전략 수립 수행과 관련된 산출물  

 

 o 정부 정책 중 하나인 좋은 일자리 창출의 간접고용효과 확인을 위한 자료를 제출하여야 함 (제출 필수) 

<주요 일자리 창출 지표> 

구분 

일자리수 

구분 

가입률 

총 일자리 

 

평균 4대 보험  

가입률 

고용보험 

% 

신규 채용수 

 

건강보험 

% 

정규직 수 

 

국민연금 

% 

청년(만18~34세) 직원 수 

 

산재보험 

% 

 

* 제출시기 : 사업종료 후 검수 시점 

 

 o 산출물 작성 및 제출목록 

구분 

제출시기 

수량 

유형 

보고 

보정 최종보고서(‘24년) 

7월 

10부 

인쇄물(제본)/파일 

착수보고서 

착수보고 시 

10부 

인쇄물/파일 

중간보고서 

중간보고 시 

10부 

인쇄물/파일 

최종보고서(‘25년) 

최종보고 시 

10부 

인쇄(제본)/파일 

기타 

과제별 

사업수행계획서 

계약체결 후 10일 이내 

1부 

파일 

주간/월간보고서 

주간/월간 

1부 

파일 

조사결과 원자료(Raw Data) 및 교차표 등 가공자료 

과업 종료 7일 이내 

1부 

파일 

표본추출틀(사업체 리스트) 및 표본추출·배분 근거 자료 

과업 종료 7일 이내 

1부 

파일 

기타 본 용역수행과 관련된 자료 일체 

과업 종료 7일 이내 

1부 

파일 

 

 * 최종보고서는 요약보고서, 결과보고서, 의견수렴 회의 관련 자료 및 사진, 보도기사 등을 포함 

 

 o 정기 및 수시보고 

 

  - 사업수행 진척상황 및 주요 이슈 등을 공유하기 위해 다음의 보고 유형에 따라 착수보고, 수시보고, 최종보고 등을 수행하여야 함 

보고유형 

주요내용 

시기 

보고방법 

착수보고 

o 사업수행계획 보고 

o 사업수행방안 협의 

사업 착수 시 

보고회, 서면 

수시보고 

o 주요 현안 및 의사결정 요청사항 

필요 시 

회의, 서면 

중간보고 

o 추진계획 대비 실적보고 

 - 계획 및 일정 변경사항 보고 

 - 주요 추진내용 및 단계별 결과 

중간보고 시 

회의, 서면 

최종보고 

o 사업 추진결과 보고 

완료보고 시 

보고회, 서면 

 

 o 사업 관련 자료 파일 제출  

 

  - 계약기간 내에 최종 보고서(컬러) 인쇄 및 전자파일(PDF) 제출 

 

        ※ 최종보고서 내 요약·결과 보고서, 전문가위원회 의견수렴 관련 자료 등 포함 

        ※ 인쇄는 컬러, B5 용지로 하되, 자세한 사항은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함 

 

  - 발주기관 및 부처의 요청이 있을 시, 본조사 후 수집된 원자료(Raw Data) 및 이에 대한 분석 자료(교차표 등) 제출 

  

  - 최종 결과보고서를 포함한 본 사업수행 자료(제안요청서, 제안서, 계약서, 기타 각종 보고서, 업체 리스트 DB 등) 

 

        ※ 용역에 사용되는 모든 제작물(이미지, 사진 등)은 지적재산권의 문제가 없어야 하며, 분쟁 발생 시 제안사가 모든 책임을 짐 

 

  - 공동수급(공동이행방식)으로 참여하는 경우, 보고서는 통합된 형태로 작성하여 제출 및 보고 

 

  - 사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과 계획대비 실적이 매우 부진한 사항에 대해서는 발주기관에 즉시 보고하여야 함 

 

4. 유의사항 

 

 o 제안내용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추가 자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안사는 이에 응하여야 함 

 

 o 본 용역을 추진함에 있어 발생하는 저작권, 사용권 또는 특허, 모든 제작물(이미지, 사진 등) 등 관련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한 책임 및 비용은 모두 계약상대자에게 있음 

 

 o 제안사의 제안내용에 대하여 수정, 보완, 변경 등이 필요할 경우 발주기관과 제안사가 상호 협의하여 정함 

 

 o 본 사업수행 결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은 발주기관과 계약상대자가 공동으로 소유함. 다만, 계약목적물의 특수성(보안, 영업비밀 등)을 고려하여 계약당사자간의 협의를 통해 지식재산권 귀속주체 등에 대해 공동소유와 달리 정할 수 있음 

5. 참고사항 

 

□ 디지털콘텐츠산업 분류체계 개편 – KSIC 연계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한국표준산업분류 10차(KSIC) 

문화콘텐츠 

문화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출판 

46453, 47611, 63999, 58111, 58113, 58122 

디지털만화 

58112, 63991 

디지털음악 

59201, 63991 

디지털방송 

60210, 60222, 60229, 612 

디지털영화 

5911, 59141, 63991 

디지털광고 

59113, 62010, 71310, 71391, 71393 

디지털게임 

5821 

디지털애니메이션 

59112, 63991 

디지털공연전시 

75992, 90191 

디지털정보콘텐츠 

63210, 63910, 63991, 63999 

e-learning 

62010, 63991, 85503, 85501, 85631, 85691, 85669 

문화 실감콘텐츠 

실감 문화콘텐츠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산업용콘텐츠 

산업용  

실감콘텐츠 

산업범용 실감콘텐츠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산업특화 실감콘텐츠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서비스  

플랫폼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디지털콘텐츠 유통플랫폼 

58211, 58212, 60229, 63991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61220 

실감콘텐츠 

서비스플랫폼 

실감콘텐츠 판매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실감콘텐츠 서비스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SW솔루션 

디지털콘텐츠 

SW솔루션 

디지털콘텐츠 SW솔루션 

58221, 58222, 62010, 62021, 62022, 62090 

실감콘텐츠 

SW솔루션 

실감콘텐츠 제작 소프트웨어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기기용 소프트웨어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기기 및  

부분품 

실감콘텐츠 

기기 및 부분품 

전용 기기 및 장치물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부분품 

VR·AR산업 분류체계 매칭  

 

 

 

 

 

 

 

 

 

 

 

 

 

 

III. 제안서 평가기준 및 작성방법 

기술능력평가 및 입찰가격평가 

 

 o 종합평가점수(100%) = 기술능력평가(90%) + 입찰가격평가(10%) 

 

 o 기술능력평가 항목 및 배점 

평가항목 

세부평가항목 

평가기준(항목설명) 

배점 

사업일반 

(25) 

사업이해도 

 o 사업목표 및 내용 이해도 

10 

제안요청 부합성 

 o 제안요청 내용과의 부합성 

5 

관련분야 전문성 

 o 관련분야 전문성 및 강점 

 o 사업추진 관련 기술‧지식 보유 

10 

사업전략 

(20) 

추진전략 

 o 사업추진 목표 및 전략의 우수성 

 o 사업수행방법의 효과성 및 타당성 

10 

제안의 적정성 

 o 제안내용의 적정성 및 실현가능성 

10 

사업수행 

(20) 

수행방안 

 o 진방법의 구체성 및 과제 세부 활동 도출 타당성 

 o 사업관리 방안의 타당성 

10 

참여인력 

 o 참여인력의 전문성 

10 

사업관리 

(25) 

일정관리 

 o 일정계획의 적정성, 세부 활동 도출 및 기간의 타당성 

 o 사업 수행과정에서 취득한 자료·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의 적절성 

10 

품질관리 

 o 산출물의 구체성 및 우수성 

 o 산출물의 객관성 확보 방안 및 품질보증활동에 대한 구체성, 실현 가능성 

10 

보고 

 o 진척관리, 위험관리, 보고체계의 적정성 

5 

 

90 

 

 

※ 기술평가 점수 동점 시 우선순위 : ①사업일반, ②사업관리, ③사업수행, ④사업전략 

 

 o 기술능력평가 방식 

 

  - 공정한 평가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 

 

  - 기술능력평가 항목 및 배점한도 기준에 따라 심사하며, 평가방식은 발주기관 지침(계약자선정평가지침)을 따름 

 

  - 평가 일정은 입찰마감 후 평가담당자가 개별 통보 

    (발표자료(pdf 파일), 발표 15분 / 질의응답 15분) 

   * 발표자료는 제안서 외 추가 파일로 제출(pdf) 

 

 o 제안발표 유의사항 

 

  - 제안발표는 제안서에 명시된 사업관리자(PM)가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동영상 등을 이용한 간접 발표는 불허 (업체 불참 시 서면평가 실시) 

 

  - 발표는 제안내용을 중심으로 해야 하며, 임원 인사 등 제안사 홍보 관련 내용은 포함할 수 없음 

 

 o 입찰가격 평점산식 : 기획재정부(계약예규)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기준(입찰공고일자 현재용) 입찰가격 평점산식에 따름 

 

□ 제안서의 효력 

 

 o 제안서에 제시된 내용 및 상호 협의하여 수정/보완 변경된 내용은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더라도 계약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짐. 다만,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는 계약서가 우선함 

 

 o 제안서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국가계약법령 및 기획재정부 계약예규(정부입찰·계약 집행기준, 용역계약일반조건, 물품구매(제조)계약일반조건, 공사계약일반조건 등) 등 관련 규정에 의함 

제안서 작성 유의사항 (권장사항) 

 

 o 제안서의 내용은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여야 함. 예를 들어, ‘사용가능 하다’, ‘할 수 있다’, ‘고려하고 있다’ 등과 같이 모호한 표현은 평가 시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며, 계량화가 가능한 것은 계량화하여야 함 

 

 o 본 사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면서 취득한 정보에 대해서는 비밀을 유지하여야 함 

 

 o 제안서의 각 페이지는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페이지 하단 중앙에 일련번호를 붙이되, 각 장별로 번호를 부여함 

 

 o 제안서는 한글(국어)작성이 원칙이며, 사용된 영문약어에 대해서는 약어표를 제공해야 함 

 

 o 제안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관련자료는 제안서의 별첨으로 제출하여야 함 

 

 

□ 제출 서류 목록 

 

 o 정성제안서 1식(별지 서식 포함) 

 o ② 제안요약서(발표자료) 1식 

 o ③ 기타 증빙서류(제안서 증빙자료 등*) 1식 

   * 자격증, 재직증명서,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 등 

□ 제안서 작성방법 

 

  - 제안서 표지에 사업관리자(PM) 연락처(전화번호, e-메일 등) 기재 

작 성 항 목 

작 성 방 법 

 Ⅰ. 제안개요 

  1. 제안 목적 

  2. 수행범위 

  3. 제안의 특징 및 장점 

 

제안사는 해당사업의 제안요청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본 제안의 목적, 범위, 전제조건, 제안내용의 핵심기술전략, 제안의 특징 및 장점을 요약하여 기술 

 Ⅱ. 제안사 일반 

  1. 일반현황 

  2. 조직 및 인원 

 

◦ 제안사의 일반현황 및 주요 연혁 기술 

◦ 제안사의 조직 및 인원현황 제시 

 Ⅲ. 사업수행부문 

  1. 개요 

  2. 추진목표 및 전략 

  3. 주요 사업내용 

  4. 세부과제별 추진방안 

 

 

 

  5. 결과물 제출계획 

 

◦ 본 사업의 수행에 관한 대략적인 개요를 기술 

◦ 본 사업의 추진목표 및 전략을 제시  

◦ 본 사업의 주요 사업내용을 기술 

◦ 제안요청 내용 세부항목의 추진 방안 및 계획 제시 

 ⋅ 세부과제 체계 및 전략 제시 

 ⋅ 각 요청사항별 방안 제시 

 ⋅ 결과를 토대로 한 보고서 작성방안 제시 

◦ 사업완료 시 결과물 제출 내역 및 활용방안 

 Ⅳ. 사업관리 부문 

  1. 추진일정 계획 

  2. 업무보고 및 검토계획 

 

  3. 수행조직 및 업무분장 

  4. 참여인력 및 이력사항 

  5. 기밀보안사항 

 

◦ 사업 추진일정을 상세히 제시 

사업기간 동안 이루어질 보고 및 검토계획을 상세하게 제시 

  - 주간 보고 및 최종 완료보고, 단계별 검토회의 등 

본 사업을 수행할 조직 및 업무분장 내용을 상세히 제시 

◦ 본 사업을 수행할 인력을 작업 단위별로 제시 

◦ 본 사업과 관련한 기밀 및 보안관리 방안 제시 

 V. 결과 활용성 부문 

◦ 과제 수행 결과물의 활용 분야 및 활용성 제고방안 제시 

 Ⅵ. 첨부자료 

◦ 제안서 이외의 별지서식 자료 등 

 * 기타 제출 서류 목록을 작성하여 첨부 

 

 

 

 

 

 

 

 

 

 

 

 

 

 

IV. 입찰안내 

입찰방식 : 제한경쟁입찰(공동이행 방식만 공동수급 허용) 

  ※ 공동수급체 구성원은 대표사를 포함하여 5개 이하로 구성하여야 하며, 구성원별 계약참여 최소지분율은 1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입찰참가자격 

 

 o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 입찰참가자격 등록규정에 따라 입찰마감 전일까지 나라장터에 학술연구용역(업종코드 : 1169)으로 입찰참가자격을 등록한 자 

 

 o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소기업자 및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소상공인으로서 소기업 범위 및 확인에 관한 규정에 따라 발급된 <소기업·소상공인 확인서>를 소지한 자 (또는 비영리법인) 

 

낙찰자 선정방식 : 협상에 의한 계약 

 

 o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사업내용, 이행방법, 이행일정 등 제안서 내용을 대상으로 기술협상을 실시하며, 협상대상자가 제안한 내용을 대상으로 일부 수정, 보완하여 그 내용의 일부를 조정 

 

 o 협상순위에 따라 협상하며, 협상기간은 협상개시를 통보한 날로부터 15일 이내로 하되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이 성립된 때에는 다른 차순위자와 협상을 하지 않음 

 

 o 협상순위는 종합평가점수의 고득점 순에 의하여 결정하며, 기술능력평가 점수가 기술능력평가분야 배점한도의 일정비율(85%)이상 인 업체를 협상대상자로 선정 

 

 o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결렬 시, 동일한 기준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차순위자와 협상을 실시하며, 모든 협상대상자와 협상이 결렬된 경우에는 재공고 입찰이 가능함 

 

기타 유의사항 

 

 o 낙찰자는 사업담당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세부 사업수행계획서(세부 추진계획, 추진일정표, 추진체계도 등)를 사업담당팀으로 제출하여야 함 

 

 o 발주기관의 사전 승인 없이 하도급을 할 수 없음 

 

 o 입찰서 제출 이후에 공동수급체 구성원을 새롭게 구성, 기존의 공동수급체 구성원을 변경할 수 없음 

 

 o 계약체결 후 대금(선금/잔금/기성) 신청서류 제출 시, 4대 사회보험료 완납증명서(사업장)를 함께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 안내 및 문의 

 

 o 사업관련 : 메타버스전략팀 김혜인 책임 (043-931-5614) 

 

   * 사업내용, 제안서 작성방법 및 심사기준, 제안발표 일정 등 

 

 

 

 

 

 

 

 

 

 

 

 

 

 

 

 

Ⅴ. 별지서식 

 

[별지 제1호] 제안서에 포함 

 

일반현황 및 연혁 

 

회 사 명 

 

대  표  자 

 

사업분야 

 

주    소 

 

전화번호 

 

설립년도 

       년     월 

해당부문 

종사기간 

       년     월    ~      년     월 (    년    개월) 

주요연혁 

 

 

 

 

 ※ 공동수급인 경우, 구성원별 각자 작성 

 

 

 

 

[별지 제2호] 제안서에 포함 

 

참여인력(상주인력) 이력사항 

성  명 

 

소  속 

 

직  책 

 

연  령 

 

자격증 

 

해당분야근무경력 

     년    월 

본사업 

역  할 

 

사업참여 

기    간 

 

참여율 

% 

 

 o 본 사업 참여역할과 연관된 수행업무 중심으로 기재(최근참여 사업 순 기재) 

 o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등에 의한 파견근로자인 경우에는 파견업체명과 원소속사를 함께 명기하여야 함 

     (예시) 업체명 (원소속사명)   

 o 참여인력의 참여사항은 총사업기간 또는 실제 사업참여 기간으로 구분하여 기재 

     (예시) 총 사업기간 5개월 중, 참여인력이 2개월간 100% 투입되는 경우 

     - 총사업기간에 5개월 또는 00년 0월 ~ 00년 0월로 기재, 참여율은 40%로 기재 

     - 총사업기간에 2개월 또는 00년 0월 ~ 00년 0월로 기재, 참여율은 100%로 기재 

 

 o 자격증, 경력 및 수행업무와 관련된 사항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붙임으로 첨부하여야 하며, 첨부되지 않은 자료에 대하여는 인정하지 않음 

 

 o 소속회사에 대한 재직증명서와 국민연금 가입자 가입증명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근거자료로 제시하여야 함 

 

  

※ 공동수급인 경우, 구성원별 각자 작성  

 

 

 

 

[별지 제3호] 제안서에 포함 

 

평가항목 참조표 

  

평가 항목 

평가 요소 

배점 

주요 페이지 

사업이해도 

 o 사업목표 및 내용 이해도 

10 

p.##∼## 

제안요청 부합성 

 o 제안요청 내용과의 부합성 

5 

p.##∼## 

관련분야 전문성 

 o 관련분야 전문성 및 강점 

 o 사업추진 관련 기술‧지식 보유 

10 

p.##∼## 

추진전략 

 o 사업추진 목표 및 전략의 우수성 

 o 사업수행방법의 효과성 및 타당성 

10 

p.##∼## 

제안의 적정성 

 o 제안내용의 적정성 및 실현가능성 

10 

p.##∼## 

수행방안 

 o 진방법의 구체성 및 과제 세부 활동 도출 타당성 

 o 사업관리 방안의 타당성 

10 

p.##∼## 

참여인력 

 o 참여인력의 전문성 

10 

p.##∼## 

일정관리 

 o 일정계획의 적정성, 세부 활동 도출 및 기간의 타당성 

 o 사업 수행과정에서 취득한 자료·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의 적절성 

10 

p.##∼## 

품질관리 

 o 산출물의 구체성 및 우수성 

 o 산출물의 객관성 확보 방안 및 품질보증활동에 대한 구체성, 실현 가능성 

10 

p.##∼## 

보고 

 o 진척관리, 위험관리, 보고체계의 적정성 

5 

p.##∼##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