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아 반도의 최대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로 직접 운항할 수 있는 하늘길이 활짝 열렸다.
* 면적 215만㎢로 한반도의 약 10배, 인구는 2,710만명('10.5 기준)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9월 28일, 29일 양일간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개최된 한·사우디 항공회담에서 양국 간 여객·화물 각각 주 3편 운항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 수석대표 : (우리측) 김완중 국제항공과장
(사우디측) 모하메드 알리 젬줌 항공부국장
우리나라는 사우디와 1976년 최초로 항공협정에 서명한 이후 과거에 대한항공과 사우디항공이 운항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직항편이 없어 해외건설과 관련된 인력들이 두바이 등을 경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대한항공 : ‘97년 1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서울/바레인/제다) 운항
* 사우디항공 : ‘80년 4월부터 ’90년 4월까지 주3회(제다/리야드/방콕/서울) 운항
이번 항공회담의 결과로 우리 항공사들은 세계 최대 산유국이며 우리나라와 4대 교역국인 사우디에 직접 취항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양국 간 인적·물적 교류의 활성화 촉진은 물론
제2의 중동 건설붐을 맞이하여 우리 국민과 기업의 사우디 진출이 한층 더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 시공 중인 공사 : 두산중공업 라빅 발전소 공사 등 77개사, 97건, 약 345억불
* 수주활동 중인 공사 : 리야드 플랜트 공사 등 19개사, 49건, 약 184억불
특히 사우디는 고유가에 기인한 막대한 재정수입을 2020년 까지 석유·화학, 농업, 교육, 관광 분야에 5,600억불, 2024년까지 전력사업에 900억불, 담수산업에 463억불을 투자할 계획으로 있어,
양국 간 개설될 직항노선은 우리 기업과 전문인력의 사우디 진출을 촉진함은 물론, 양국 협력관계를 기존의 정치·경제 분야를 넘어 문화·교육 분야로 더욱 확대,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한-사우디 교역실적
(단위 : 천불)
구 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수출금액
|
4,025,836
|
5,253,426
|
3,856,582
|
4,556,673
|
수입금액
|
21,163,501
|
33,781,495
|
19,736,848
|
26,820,002
|
무역수지
|
-17,137,665
|
-28,528,069
|
-15,880,266
|
-22,263,329
|
* 주요 수출품목
- 한국 : 기계, 컴퓨터, 전기,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가전제품, 산업기계 등
- 사우디 : 원유에 국한, 원유 외 품목은 극히 미미한 액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