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1.12월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10% 상승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11년 누적 지가변동률은 1.17% 상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전 고점('08.10월)에 비해서는 1.06% 낮은 수준이다.(그림참조)
* 월별 지가변동률(%)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11.12월지변율
|
0.10
|
0.08
|
0.04
|
0.05
|
0.13
|
0.13
|
고점대비(’08.10)
|
-1.06
|
-1.84
|
-3.61
|
-0.17
|
-0.39
|
0.37
|
토지거래량은 총 255,846필지, 212,475천㎡로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필지수 기준 0.8% 감소, 면적 기준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년 전체 토지거래량은 249.4만 필지로서, ’10년(224.1만 필지)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12월 지가변동률(전월비 기준) 》
지역별로는 서울 0.04%, 인천 0.05%, 경기 0.13%이며, 지방은 0.05~0.18% 상승
* 지역별 지가변동률(%)
경기 하남시, 전북 전주시 완산구, 강원도 평창군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 기록
*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상 승 사 유
|
1
|
경기도 하남시
|
0.55
|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진행,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등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감
|
2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0.45
|
도청 이전지역인 서부 신시가지 개발, 효자 4․5지구 택지개발 등 개발사업, 한옥마을 관광객 유입 증가에 따른 인근지역 지가 상승 영향
|
3
|
강원도 평창군
|
0.32
|
동계올림픽개최지 확정, 올림픽특구 지정 및 특별법 제정 추진, 복선전철 등 인프라구축에 따른 지역개발 기대감
|
4
|
강원도 원주시
|
0.31
|
월곡-판교-여주 복선철도 원주로의 연장가시화, 원주-강릉복선철도, 제2영동고속도로 등 접근성 향상 기대
|
5
|
대구광역시
달성군
|
0.30
|
테크노폴리스일반산업단지와 대구사이언스파크 국가산업단지, ITS자동차부품주행시험장 건립 등 개발사업의 영향
|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상업지역(0.05%), 비도시지역은 보전관리지역(0.10%)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며,
지목별로는 전(0.16%), 답(0.15%) 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비슷
《 붙임 1 》 ’11.12월 지가동향 (7쪽)
《 ’11. 12월 토지거래량(전년동월비 기준) 》
’11.12월 토지거래량은 총 255,846필지, 212,475천㎡로서 전년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0.8% 감소, ② 면적 6.0% 감소하였으며,
* 전월(’11.11월)대비 필지수 22.4% 증가, 면적 5.9% 증가
최근 5년간 동월평균거래량(253천필지)보다 1.3% 높은 수준
* 월별 토지거래량 및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필지수 기준)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3.2%), 상업지역(1.7%)의 거래량이 증가하였고,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기타(13.8%), 대지(3.9%)의 거래량이 증가
《 붙임 2 》 ’11.12월 토지거래량 (11쪽)
《 ’11년 토지시장 결산 》
2011년 전국 지가변동률은 ’10년말 대비 1.17% 상승, 수도권은 1.16%, 지방은 1.17% 상승
※ 연간 지가변동률(%) : (’08) -0.319 → (’09) 0.955 → (’10) 1.046 → (’11) 1.17
소비자 물가지수(%) : (’08) 4.7 → (’09) 2.8 → (’10) 3.0 → (’11 예상) 4.0
(시도별) 경남 1.63%, 부산 1.58%, 경기․대전 1.47% 순으로 상승
경남․부산은 통합창원시 출범에 따른 각종 개발사업 및 주거수요 증가, 부산-김해 경전철 수혜지역 지가상승 영향
경기는 하남시, 시흥시 등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지역이 지가상승 견인, 대전은 과학비즈니스벨트, 세종시 영향
(시군구별) 대부분의 지역이 1~2%의 상승률을 보인 반면, 경기 하남시(5.65%)와 경기 시흥시(3.53%)는 3% 이상 높은 상승률 시현
* 지가상승률 상위 10개지역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
상 승 사 유
|
1
|
경기도 하남시
|
5.65
|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현안사업2지구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영향
|
2
|
경기도 시흥시
|
3.53
|
도로개설사업, 철도신설사업 등 대규모 정책사업과 보금자리주택사업 등의 영향
|
3
|
대구광역시
달성군
|
2.98
|
동국도5호선확장 포장공사, 대구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개발에 대한 기대심리
|
4
|
강원도 평창군
|
2.87
|
동계올림픽개최지 확정, 올림픽특구 지정 및 특별법 제정추진, 복선전철등 인프라구축에 따른 지역개발의 기대감
|
5
|
경상남도 함안군
|
2.73
|
남해고속도로와 경전선복원, 창원39사단 이전사업보상 착수등 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
|
6
|
대구광역시 동구
|
2.69
|
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율하택지개발지구 등 개발사업의 진척도 증가, 동대구로 개선 등 신규사업의 가시화
|
7
|
경기도 화성시
|
2.48
|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및 제2서해안고속도로사업 등 도로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감
|
8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2.42
|
창원시 통합에 따른 주거수요의 증가로 아파트가격 급등 및 단독주택 수요 증가 견인
|
9
|
경상남도 거제시
|
2.35
|
지평선 복합산업단지 건설사업 및 각종 개발사업 등의 진척도 및 활성화에 따른 기대감
|
10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2.35
|
창원시 통합효과, 공동주택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증가, 역세 상권 개발 및 창원 KTX개통, 창원39사단의 함안 이전사업의 가시화 등 영향
|
(토지거래량) ’11년 누적 토지거래량은 전년대비 11.3% 증가
주요 증가원인은 기저효과, 아파트 분양․거래 증가 등
* 토지거래량(만건) : (’08) 249.9 → (’09) 243.2 → (’10) 224.1 → (’11) 24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