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1.12월 땅값 0.1% 상승, 안정세 유지
기관
등록 2012/01/20 (금)
파일 120120(석간) 2월_지가변동률_및_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1.12월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10% 상승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11년 누적 지가변동률은 1.17% 상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전 고점('08.10월)에 비해서는 1.06% 낮은 수준이다.(그림참조)
 


  * 월별 지가변동률(%)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1.12월지변율

0.10

0.08

0.04

0.05

0.13

0.13

고점대비(’08.10)

-1.06

-1.84

-3.61

-0.17

-0.39

0.37


 토지거래량은 총 255,846필지, 212,475천㎡로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필지수 기준 0.8% 감소, 면적 기준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년 전체 토지거래량은 249.4만 필지로서, ’10년(224.1만 필지)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1.12월 지가변동률(전월비 기준) 》


  지역별로는 서울 0.04%, 인천 0.05%, 경기 0.13%이며, 지방은 0.05~0.18% 상승


  * 지역별 지가변동률(%)


  경기 하남시, 전북 전주시 완산구, 강원도 평창군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 기록


  *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상 승 사 유

1

경기도 하남시

0.55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진행, 감북동 제4차 보자리주택지구 지정 등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

2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0.45

도청 이전지역인 서부 신시가지 개발, 효자 4․5지택지개발 등 개발사업, 한옥마을 관광객 유입 증가에 따른 인근지역 지가 상승 영향

3

강원도 평창군

0.32

동계올림픽개최지 확정, 올림픽특구 지정 및 특별법 제정 추진, 복선전철 등 인프라구축에 따른 지역개발 기대감

4

강원도 원주시

0.31

월곡-판교-여주 복선철도 원주로의 연장가시화, 원주-강릉복선철도, 제2영동고속도로 등 접근성 향상 기대

5

대구광역시
달성군

0.30

테크노폴리스일반산업단지와 대구사이언스파크 국가산업단지, ITS자동차부품주행시험장 건립 등 개발사업의 영향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상업지역(0.05%), 비도시지역은 보전관리지역(0.10%)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며,


  지목별로는 전(0.16%), 답(0.15%) 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비슷



 《 붙임 1 》 ’11.12월 지가동향 (7쪽)


 《 ’11. 12월 토지거래량(전년동월비 기준) 》


 ’11.12월 토지거래량은 총 255,846필지, 212,475천㎡로서 전년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0.8% 감소, ② 면적 6.0% 감소하였으며,


  * 전월(’11.11월)대비 필지수 22.4% 증가, 면적 5.9% 증가


  최근 5년간 동월평균거래량(253천필지)보다 1.3% 높은 수준


  * 월별 토지거래량 및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필지수 기준)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3.2%), 상업지역(1.7%)의 거래량이 증가하였고,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기타(13.8%), 대지(3.9%)의 거래량이 증가



 《 붙임 2 》 ’11.12월 토지거래량 (11쪽)


 《 ’11년 토지시장 결산 》


 2011년 전국 지가변동률은 ’10년말 대비 1.17% 상승, 수도권은 1.16%, 지방은 1.17% 상승


  ※ 연간 지가변동률(%) : (’08) -0.319 → (’09) 0.955 → (’10) 1.046 → (’11) 1.17
      소비자 물가지수(%) : (’08) 4.7 → (’09) 2.8 → (’10) 3.0 → (’11 예상) 4.0
 


  (시도별) 경남 1.63%, 부산 1.58%, 경기․대전 1.47% 순으로 상승


   경남․부산은 통합창원시 출범에 따른 각종 개발사업 및 주거수요 증가, 부산-김해 경전철 수혜지역 지가상승 영향


   경기는 하남시, 시흥시 등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지역이 지가상승 견인, 대전은 과학비즈니스벨트, 세종시 영향
 


  (시군구별) 대부분의 지역이 1~2%의 상승률을 보인 반면, 경기 하남시(5.65%)와 경기 시흥시(3.53%)는 3% 이상 높은 상승률 시현


  * 지가상승률 상위 10개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

상 승 사 유

1

경기도 하남시

5.65

미사지구 보금자리주택 개발,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현안사업2지구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영향

2

경기도 시흥시

3.53

도로개설사업, 철도신설사업 등 대규모 정책사업과 보금자리주택사업 등의 영향

3

대구광역시
 달성군

2.98

국도5호선확장 포장공사, 대구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개발에 대한 기대심리

4

강원도 평창군

2.87

동계올림픽개최지 확정, 올림픽특구 지정 및 특별법 제정추진, 복선전철등 인프라구축에 따른 지역개발의 기대감

5

경상남도 함안군

2.73

남해고속도로와 경전선복원, 창원39사단 이전사업보상 착수등 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

6

대구광역시 동구

2.69

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율하택지개발지구 등 개발사업의 진척도 증가, 동대구로 개선 등 신규사업의 가시화

7

경기도 화성시

2.48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및 제2서해안고속도로사업 등 도로개발사업 진행에 따른 기대

8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2.42

창원시 통합에 따른 주거수요의 증가로 아파트가격 급등 및 단독주택 수요 증가 견인

9

경상남도 거제시

2.35

지평선 복합산업단지 건설사업 및 각종 개발사업 등의 진척도 및 활성화에 따른 기대감

10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2.35

창원시 통합효과, 공동주택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증가, 역세 상권 개발 및 창원 KTX개통, 창원39사단의 함안 이전사업의 가시화 등 영향


  (토지거래량) ’11년 누적 토지거래량은 전년대비 11.3% 증가


   주요 증가원인은 기저효과, 아파트 분양․거래 증가 등


  * 토지거래량(만건) : (’08) 249.9 → (’09) 243.2 → (’10) 224.1 → (’11) 2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