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3년 1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309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1,440만 톤) 대비 1.1%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13.1월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
(단위 : 천톤, %)
|
‘10.1월
|
‘11.1월
|
‘12.1월
|
최근 3개월
|
‘13.1월
|
‘12.10월
|
‘12.11월
|
‘12.12월
|
총물동량
|
98,354
|
107,857
|
114,399
|
111,924
|
109,773
|
110,367
|
113,089
|
전년동기 대비
|
19.2
|
9.7
|
6.1
|
△3.0
|
0.5
|
△6.6
|
△1.1
|
|
수 출 입
|
79,496
|
89,417
|
94,896
|
93,066
|
91,497
|
93,100
|
96,709
|
|
연 안
|
18,858
|
18,440
|
19,503
|
18,858
|
18,276
|
17,267
|
16,380
|
항만별로 살펴보면, 광양항과 울산항은 유류 및 광석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4.2%, 7.7% 증가했으나,
대산항은 유류 및 유연탄 등 수출입 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8.5% 감소하였다.
< '13년 1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 >
(단위 : 천톤, %)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25,578
|
19,990
|
17,784
|
13,418
|
9,308
|
5,840
|
4,905
|
16,266
|
전년동기 대비
|
1.6
|
4.2
|
7.7
|
1.3
|
5.5
|
△8.5
|
6.6
|
△20.6
|
품목별로는 광석 및 기계류는 수출입 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8.7%, 14.0% 증가한 반면, 철재 및 모래는 수출입물량 감소로 각각 14.9%, 55.8% 감소하였다.
< '13년 1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 >
(단위: 천톤,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기계류
|
철재
|
자동차
|
화공품
|
시멘트
|
모래
|
기타
|
총물동량
|
36,961
|
11,483
|
9,884
|
7,658
|
6,426
|
5,359
|
5,143
|
2,693
|
1,667
|
25,815
|
전년동기 대비
|
2.9
|
8.7
|
△5.7
|
14.0
|
△14.9
|
11.9
|
7.7
|
△7.6
|
△55.8
|
△4.2
|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국 항만의 1월 컨테이너 물동량(확정)이 지난해 같은 달(1,797천TEU)에 비해 2.2% 증가한 1,835천TEU*를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094천(4.0%↑), 환적화물 709천(1.9%↑), 연안화물 32천TEU(33.9%↓)
세계경기 위축, 내수부진 등 국내외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미국·중국 등 주요시장에 대한 수출증가로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그 증가폭은 감소하였다.
* 전년대비 누계증가율(%) : 4.5('12.8)→4.9('12..9)→4.4('12..10)→4.4('12..11)→4.1('12..12)→2..2('13.1)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1. 1월
|
'12. 1월
|
'12.1~ 1월
|
최근 3개월
|
'12.1~ 1월
|
'12.11월
|
'12.12월
|
'13.1월
|
총 물 동 량
|
1,690
|
1,797
|
1,797
|
1,888
|
1,897
|
1,835
|
1,835
|
전년동기 대비
|
13.4
|
6.1
|
6.1
|
4.4
|
4.2
|
2.2
|
2.2
|
|
수출입
|
1,072
|
1,052
|
1,052
|
1,151
|
1,138
|
1,094
|
1,094
|
|
환 적
|
570
|
696
|
696
|
709
|
728
|
709
|
709
|
|
연 안
|
47.8
|
49.0
|
49.0
|
27.8
|
29.8
|
32.4
|
32.4
|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0.1% 증가한 1,370천TEU를, 환적화물은 672천TEU(0.2%↓)를 처리하였고
광양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2.5% 증가한 174천TEU를 처리하였으며, 환적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73.3% 증가한 36천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對 중국 및 동남아 국가와의 교역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5.9% 증가한 174천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1. 1월
|
'12. 1월
|
'12.1~1월
|
최근 3개월
|
'13.1~1월
|
'12.11월
|
'12.12월
|
'13. 1월
|
부산항
|
1,236
|
1,368
|
1,368
|
1,390
|
1,424
|
1,370 (0.1)
|
1,370 (0.1)
|
광양항
|
171
|
170
|
174
|
189
|
181
|
174 (2.5)
|
174 (2.5)
|
인천항
|
166
|
150
|
150
|
184
|
174
|
174 (15.9)
|
174(15.9)
|
한편, 세계 10대 항만은 전년 동기대비(1,582만TEU) 6.7% 증가한 1,687만TEU를 처리하였으며,
부산항은 중국 주요 항만의 2월 중국 춘절 대비 물동량 밀어내기의 영향으로 물동량이 급증한 닝보-저우산(160만TEU 13.1%↑), 청도(139만TEU 14.2%↑)에 이어 7위를 차지하였다.
|